ESP32의 기본 I2C 핀은 다음과 같습니다.  GPIO 22 (SCL), GPIO 21 (SDA)

 

이건 I2C 부품 주소 스캐닝 코드입니다.

#include <Wire.h>
 
void setup() {
  Wire.begin();
  Serial.begin(115200);
  Serial.println("\nI2C Scanner");
}
 
void loop() {
  byte error, address;
  int nDevices;
  Serial.println("Scanning...");
  nDevices = 0;
  for(address = 1; address < 127; address++ ) {
    Wire.beginTransmission(address);
    error = Wire.endTransmission();
    if (error == 0) {
      Serial.print("I2C device found at address 0x");
      if (address<16) {
        Serial.print("0");
      }
      Serial.println(address,HEX);
      nDevices++;
    }
    else if (error==4) {
      Serial.print("Unknow error at address 0x");
      if (address<16) {
        Serial.print("0");
      }
      Serial.println(address,HEX);
    }    
  }
  if (nDevices == 0) {
    Serial.println("No I2C devices found\n");
  }
  else {
    Serial.println("done\n");
  }
  delay(5000);          
}

 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하지만 ESP32은 아무 핀이나 I2C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  이번 프로젝트중 예기치 않게 발생한 문제점은 메인 보드가 불량이었던지 기본 I2C 핀들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던 점이었습니다.   그래서 부품을 갈아야 하나 하다가 그냥 다른 핀들을 사용해서 해결했습니다.

참조 : randomnerdtutorials.com/esp32-i2c-communication-arduino-ide/

 

ESP32에서 다른 주소를 사용해서 주소 스캔한 예 : (SDA : gpio32, SCL : gpio12)

#include <Wire.h>

#define I2C_SDA 32
#define I2C_SCL 12
 
void setup() {
  Wire.begin(I2C_SDA, I2C_SCL);
  Serial.begin(115200);
  Serial.println("\nI2C Scanner");
}
 
void loop() {
  byte error, address;
  int nDevices;
  Serial.println("Scanning...");
  nDevices = 0;
  for(address = 1; address < 127; address++ ) {
    Wire.beginTransmission(address);
    error = Wire.endTransmission();
    if (error == 0) {
      Serial.print("I2C device found at address 0x");
      if (address<16) {
        Serial.print("0");
      }
      Serial.println(address,HEX);
      nDevices++;
    }
    else if (error==4) {
      Serial.print("Unknow error at address 0x");
      if (address<16) {
        Serial.print("0");
      }
      Serial.println(address,HEX);
    }    
  }
  if (nDevices == 0) {
    Serial.println("No I2C devices found\n");
  }
  else {
    Serial.println("done\n");
  }
  delay(5000);          
}

ESP32에서 SCL:12, SDA:32 를 사용해서 찾아낸 GY-BNO055 센서.

 

ESP32에서 다른 핀들을 사용해서 adafruit library로 활성화시킨 GY-BNO055 센서.

 

ESP32로 장난감을 만든 다음 붙여있는 센서들의 input을 기초로 모델을 만들어 저장하려고 했는데, 가지고 있는 ESP32 보드들이 4MB PSRAM이 없는 WROOM 칩들을 사용하는 옛날 보드들이었습니다.

WROVER 버전들만 (4M / 8M / 16M)짜리 PSRAM이 있더군요.

가지고 있는 WROOM에도 SPIFFS 기능을 사용해서 화일을 쓰고 읽고 삭제할 수 있지만 크기가 많이 줄어듭니다.

실험용으로는 별 문제는 없겠지만 그래도 무척 아쉽군요.

온라인에 ESP32로 AI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경우는 Training을 PC에서 텐서플로같은 툴들을 사용해서 한 후 결과값만 코드로 옮겨서 사용하더군요. 단순한 센서의 값을 이용하는 경우의 대부분이 단순한 linear regression 문제라서 ESP32 자체적으로 금방 훈련도 될 것 같은데 원시적인 코딩이 불편한가 봅니다.

저도 원시적인 코딩이 귀찮아서 라이브러리들을 설치하게 되더군요.

 

SPIFFS 화일 작업 실험.

 

 

새로 설치한 ESP32에서 쓸 수 있는 인공지능용 라이브러리들.  (key term : Neural, Tensor)

신경망 라이브러리 설치.

 

 

Tensor Flow 관련 라이브러리 설치 

 

NeuralNetwork 라이브러리의 샘플을 실행해 본 사진.

 

 

 

'인공지능 ESP32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Demo32_Simple_ML  (0) 2021.10.09
ESP32로 고전 인공지능 OR 문제 1개의 퍼셉트론으로 풀기.  (0) 2021.10.08
Code Block 실험.  (0) 2019.07.27

+ Recent posts